당뇨병 환자 300만 시대, 젊은 비만 30대 급증
당뇨병으로 병원에 간 사람 300만명
당뇨로 진료받은 302만8128명
'숨은 환자'까지 포함하면 환자 수가 500만명이 넘을 것
소아 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며 당뇨병이 빠르게 확산
109
2020-09-11[나꼰대 건강이야기] 숙면의 기술(6) - 수면무호흡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옆으로 자면 호흡 편안
몸의 왼쪽을 아래로 하는 자세가 좋다
뒷목을 가볍게 받쳐주는 베개가 좋다
1948
2020-09-10소변 너무 잦으면 방광에 노폐물 쌓여
대변은 하루에 1회 정도 봐야 시원하다
의학적으로 성인은 하루 소변을 4~6회 봐야 한다
수면 중에는 소변을 보지 않는 것이 '정상'
방광훈련을 통해 소변 보는 횟수를 줄여야 한다
153
2020-09-09[나꼰대 건강이야기] 노인 '저작 불편'
한 번에 많이 먹지 않기
젓가락보다 숟가락, 포크 이용하기
찬물 대신 미진그하거나 따뜻한 물 마시기
식후 30분은 앉거나 서 있기
씹는 데 불편 느끼면 곧바로 병원 가기
1856
2020-09-08손 거스러미 뜯으면 왜 안 될까
조갑주위염이란 손발톱 주변이 붓고 염증이 생기는 질환
깨끗한 손톱깎이나 가위를 이용해 말끔하게 잘라내야
자른 후에는 소독을 한 뒤 보습제를 발라야
128
2020-09-07매운맛이 당기는 이유
한국인의 밥상에서 매운맛은 일상
식재료 본연의 매콤함 활용
고통 줄이는 호르몬인 엔도르핀 만들어
캡사이신 소스는 건강한 매운맛과 무관
133
2020-09-04[나꼰대 건강이야기] 숙면의 기술(5) - 하지불안증후근?
전전반측(輾轉反側)-잠을 못 들고 뒤척일 때
불면증을 유발하는 수면장애 질환
성인 여성 10명 중 1명에서 나타난다는 것
빈혈, 신부전, 임신, 약물, 당뇨 합병증 등이 지목
2165
2020-09-03다이어트, 굶는 건 금물, 조금씩 천천히 드세요
급한 식사습관 먼저 고치자
음식 내용·양 적절히 바꿔야한다
현미밥에 과일·채소는 듬뿍넣자
단백질 보충은 계란 흰자로 채우자
1290
2020-09-02[나꼰대 건강이야기] 저녁 있는 삶, '저녁 건강법 - 저녁휴식’
퇴근 후 휴식을 취하고 여가를 즐겨라
영화 관람보다 새로운 언어 공부 추천
낯선 곳에서 길을 찾는 것도 뇌 자극
취미 활동은 재미가 있어야 한다
2608
2020-09-01심혈관질환 위험, 팔굽혀펴기해보면 안다
근육운동으로 팔굽혀펴기가 권장
심혈관질환 위험도 낮다는 연구결과
푸시업 능력과 심혈관질환 위험은 대략 반비례
심장질환 위험을 쉽게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기
200
2020-08-31치매 부르는 노인성 난청, 맞춤 보청기로 적극 관리
난청 심하면 우울감 높고 사회 생활에 불편
노인성 난청은 우울증이나 치매와도 관련
난청이 생긴 초기 보청기를 착용해 적극 관리
전문적 검사·진단해야 보청기 만족도 높아
148
2020-08-28[나꼰대 건강이야기] 숙면의 기술(4) - 잠의 주기
아침 햇살 샤워는 저녁 꿀잠의 묘약
밤에 잠을 자는 것도 일주기 리듬의 중요한 한 부분
리듬을 맞추기 위해 아침이 가장 중요한 시점
4199
2020-08-27감태의 효능
불면증 개선에 큰 도움
항산화 작용에 의한 항암기능
골다공증과 치아건강에도 큰 도움
독소 배출 기능도 뛰어남
140
2020-08-26[나꼰대 건강이야기] 저녁 있는 삶, '저녁 건강법 - 저녁식사'
호르몬 변화에 맞춰라
취침 3시간 전 먹고, 채소 반드시 섭취
과음은 숙면을 방해한다
4161
2020-08-25헬스 보충제 못지않은 명태
헬스 보충제 못지않은 역할을 하는 명태
명태 단백질 성분은 이용 효율성이 높게 나옴
미오신 성분으로 인해 운동하지 않아도 근육이 강화
명태로 근육량도 늘릴 수 있다
127
2020-08-2430대도 혈관건강 적신호, 나쁜 콜레스테롤과 전쟁
죽상경화증, 플라크로 인해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
30세 이상 성인 6명 중 1명이 가지고 있는 질환
유산소 운동, 견과류 먹는 것도 도움
폴리코사놀은 현재까지 쿠바산만 기능성을 인정
식습관 개선도 필요
136
2020-08-21